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는 체중에 대하여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BMI는 키와 몸무게를 바탕으로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및 비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BMI는 대사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과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질병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는 체중에 대하여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BMI는 키와 몸무게를 바탕으로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및 비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BMI는 대사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과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질병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지방과 근육의 무게차이에도 불구하고 BMI는 지방과 근육의 비율을 반영하지 못하기에 아주 정교한 측정방법은 아닙니다. 근육의 경우 지방보다 훨씬 밀도가 높기에 같은 부피 기준 더 무겁습니다. 예를 들어, 매우 근육질인 사람들은 근육의 무게로 인해 실제로는 건강한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BMI를 가지고 비만으로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BMI는 보디빌더나 운동선수, 임산부, 노인, 어린이, 청소년 및 신체적 장애를 갖고 있거나 섭식 장애를 갖고 있을 경우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BMI는 단순히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과 처방은 의사와 함께 상의할 것을 추천합니다.
BMI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계산합니다.
- 체질량지수 (BMI) = 체중 (kg) / [신장 (m)]2 = 체중 (Ib) / [신장 (in)]2 ⅹ 703
예를 들어, 몸무게가 70kg이고 키가 170cm인 사람은 70 / (1.7)2 으로 BMI가 약 24.22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154 Ib / (66 in)2 ⅹ 703 ≒ 24.85]
일반적인 성인의 BMI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2019.
어린이와 청소년의 BMI는 나이와 성별에 따라 체지방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은 의사와 상의할 것을 추천합니다.
이전 연구결과에 따르면 저체중일 경우 심장질환 발병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합니다. 또한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만성피로, 빈혈, 우울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과체중이거나 비만일 경우, 혈압이 높아지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제 2형 당뇨병, 만성 심장질환, 관상동맥경화증, 뇌졸중을 비롯한 질병의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유방암, 대장암 등을 비롯한 암 발병 위험도 또한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비만은 우울증이나, 불안감과 같은 증상을 나타낼 수 있어 삶의 질을 저하시킵니다.
질병관리본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2017년 34.1%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남성의 경우 비만 유병율이 41.6%로 여성의 약 2배에 해당합니다.
미국질병관리본부는 건강한 체중 관리를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활 방식이나 식단을 바꾸기 전에 의사와 함께 상의할 것을 추천합니다.